김영한 님의 스프링 입문(코드로 배우는 스프링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을 복습한다고 ppt를 보다가
예전에 친구들 단톡에서 본 대화 내용이 기억났다.
친구가 "원래 스프링 앞에 서블릿이 떠있음?" 라는 뉘앙스로 현업 친구한테 질문했었다.
내가 저 질문을 들었다면 답을 못할 것이 뻔하기 때문에, 'spring container and servlet' 이라고 구글에 검색했다.
아래는 스택오버플로우의 질문글 제목이다.
첫번째 답변은 이에 대해 이렇게 답하고 있다.
'서블릿 컨테이너(웹 컨테이너)는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자바 웹 어플리케이션이 살 수 있는 환경이다.' 라고 설명하고,
스프링 컨테이너에 대해서는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코어(엔진)이며, 스프링 어플리케이션의 lifecycle을 관리하고 빈을 생성하고, 의존성을 주입하는 IoC 컨테이너다.'라고 설명했다.
덧붙여 '스프링 어플리케이션은 웹 어플리케이션이 될 수 있으니, 스프링 컨테이너는 웹 컨테이너(서블릿 컨테이너) 안에 살 수 있다.' 라고 첨언했다.
다른 블로그 글들을 보다가 이 그림을 보니 대략적인 구성을 이해할 수 있었다.
서블릿 컨테이너가 관리한다고 생각하면 될 것 같다.
더 자세한 내용들은 나중에 복습하면서 찾아보고 기록해둬야겠다.
22.10.03
유명한 분 블로그에 Spring 카테고리가 있어서 예전글부터 보다가 발견했다.
서블릿 컨테이너와 스프링 컨테이너(IoC 컨테이너) 관련해서 설명이 있기 때문에 여기에 추가해둬야겠다.
'Spring > 스프링 입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프링 빈과 의존 관계 (0) | 2022.11.02 |
---|---|
일반적인 웹 애플리케이션 계층 구조 (0) | 2022.10.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