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기수의 1주 차 미션이었던 숫자 야구 게임이 2주 차로 나왔다.
처음에는 제공된 라이브러리와 테스트 코드를 보는데 이해가 안 돼서 이거부터 이해하고 넘어갔다.
mock 객체를 써서 테스트하는 방식을 써본적이 없으니 이해하는데 좀 시간이 걸릴 뻔했는데,
mock과 관련된 것들을 구글링 하여 읽고 나니 금방 이해할 수 있었다.
이번 주차는 과제하는 동안 느낀 것보다는 끝나고 나서 친구의 훈수를 듣고 느낀 게 많았다.
훈수 몇 개를 좀 요약하자면,
기능에 대한 이해를 잘못하고 있다.
예외에 대한 기능 목록은 어디 갔냐?
무의미한 테스트 코드가 많다.
일관성을 지켜라.
Util 클래스로 뺄 수 있는 것들은 객체 생성 말고 빼는 게 낫지 않냐.
예외를 구체화시켜라.
클래스 기능에 안 맞는 메소드들이 있다.
메소드를 더 분리시킬 수 있는데 아직 부족하다.
보자마자 다 수긍할 수밖에 없었다.
3주 차는 이 것들을 다 받아들여 완성해봐야겠다.
3주차 미션 메일과 함께 2주 차 미션과 함께하는 자바 기초 특강 영상이 있길래 봤는데,
여기서도 얻어가는 것들이 있었다.
코치님이 직접 2주차 미션을 구현해나가는데,
기능 목록 작성하는 것을 보고 '아 그냥 저렇게 적되 세세하게만 적으면 되는구나'라고 생각했다.
e.g. 1부터 9까지의 서로 다른 임의의 수 3개를 생성한다. 컴퓨터의 수와 사용자의 수를 비교할 수 있다. 등
기능 요구 사항을 보고, 내가 필요로 하는 기능(~하는 기능, ~한다.)을 적고, 세세하게 나눌 수 있는 것들은 나누자.
'클래스 명에 맞게 행동할 수 있는 메소드들로 클래스를 구성해야 한다.'라고 친구의 훈수와 같은 맥락의 말씀도 하셨다.
테스트 코드 작성 부분에서는 ParameterizedTest로 중복되는 여러 테스트를 하나로 줄이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번 주차에 훈수도 듣고, 강의 영상도 보면서 많은 것들을 얻은 것 같은데,
이때까지 나는 그냥 대충대충 한 게 아니었나 싶기도 하다.
사실 최근 1주일 좀 넘게 생활 패턴도 다 꼬이고 아무것도 안 하고 있는데,
다시 하나씩 시작하면서 몸 상태를 좀 끌어올리고,
프리코스도 최대한 많이 생각하면서 코드를 짜야겠다.
'우아한테크코스 5기 > 프리코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리코스 3주차 후기 - 로또 (0) | 2022.11.16 |
---|---|
프리코스 1주차 - java onboarding (0) | 2022.1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