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한 님의 '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강의를 듣고 내용을 정리한 것. (https://www.inflearn.com/course/%EC%8A%A4%ED%94%84%EB%A7%81-mvc-2#) 공통 관심사(cross-cutting concern) - 애플리케이션 여러 로직에서 공통으로 관심이 있는 것 공통 관심사는 AOP로 해결할 수 있지만, 웹에 관련된 공통 관심사는 서블릿 필터 또는 스프링 인터셉터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서블릿 필터 필터 흐름 HTTP 요청 > WAS > 필터 > 서블릿(스프링의 dispatcher servlet) > 컨트롤러 제한도 걸 수 있고, 필터 여러 개를 체인 형태로 묶어 적용할 수 있다. 필터 인터페이스(javax.servlet.Filt..
분류 전체보기
![](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N7PkB%2FbtrNn2qEJ5j%2FXi1ZwnUMcRYK6Myi1Hk6lK%2Fimg.png)
김영한 님의 스프링 입문(코드로 배우는 스프링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을 복습한다고 ppt를 보다가 예전에 친구들 단톡에서 본 대화 내용이 기억났다. 친구가 "원래 스프링 앞에 서블릿이 떠있음?" 라는 뉘앙스로 현업 친구한테 질문했었다. 내가 저 질문을 들었다면 답을 못할 것이 뻔하기 때문에, 'spring container and servlet' 이라고 구글에 검색했다. 아래는 스택오버플로우의 질문글 제목이다. 첫번째 답변은 이에 대해 이렇게 답하고 있다. '서블릿 컨테이너(웹 컨테이너)는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자바 웹 어플리케이션이 살 수 있는 환경이다.' 라고 설명하고, 스프링 컨테이너에 대해서는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코어(엔진)이며, 스프링 어플리케이션의 lifecycle을 관리하고 빈..